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- Unreal
- FBX
- 데이터베이스 배움터
- 민겸수
- 의미와 무의미의 경계에서
- 셰그먼트트리
- 오손데이터읽기
- UnrealMP
- 1967번
- 실습
- UActor
- 5639
- 언리얼 플러그인
- 백준 1253번
- SQL
- oracle
- hackerank
- command not found
- 2단계로킹
- C++
- 언리얼 커스텀 플러그인
- objtofbx
- 1253번
- 1759번
- Security
- 트랜잭션 관리
- OS
- 백준
- Linux
- 비재귀셰그먼트
- Today
- Total
목록전체 글 (118)
fatalite
m 크기의 연속된 부분 배열의 합이 d인 개수를 찾는 것이다. 이거 근데, 나는 연속되었다는 걸 인지 못하고 불연속된 것도 포함해서 구하다가 시간을 많이 까먹었다. 재귀랑 DP가 섞인 코드였는데 나중에 한 번 완성 시켜봐야겠다.. int cnt = 0; int birthday(vector s, int d, int m) { for(int i = 0; i < s.size(); i = i + 1){ int sum = 0; for(int k = 0; k < m; k++){ sum = sum + s[k+i]; } if(sum == d){ cnt++; cout
규칙 발견, Constrait 발견 Solution Code string twoArrays(int k, vector A, vector B) { std::sort(A.begin(),A.end()); std::sort(B.begin(),B.end()); reverse(B.begin(),B.end()); for(int i = 0; i < A.size(); i++){ if(A[i] + B[i] < k) return "NO"; } return "YES"; }
한 줄 요약 $$ P(B|A) 는 표본 공간 S가 아닌 A에서 B가 일어날 확률을 의미한다. $$ 조건부 확률이란, A가 일어난 경우에 B가 일어날 확률을 의미하는 것이다. A에 포함된다는 것은, 표본 공간이 S에서 A로 변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을 것 같다. 여기서 표본 공간은, 일어날 수 있는 모든 사건의 집합을 의미한다. 그리고 추가적으로 이러한 공간에 실수를 대응시키는 것을 랜덤 변수라고 한다. 따라서 $$ P(B|A) = \frac{n(A\cap B)}{n(A)} $$ 라고 이해할 수 있다. 이를 $$ n(S) $$로 나누면, $$ P(B|A) = \frac{\frac{n(A\cap B)}{n(S)}}{\frac {n(A)}{n(S)}} = \frac{P(A\cap B)} {P(A)} $$ ..